문제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 토네이도, 파이어스톰, 물복사버그 마법을 할 수 있다.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은 비바라기를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격자의 각 칸에는 바구니가 하나 있고, 바구니는 칸 전체를 차지한다. 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r, c)는 격자의 r행 c열에 있는 바구니를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바구니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격자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마법사 상어는 연습을 위해 1번 행과 N번 행을 연결했고, 1번 열과 N번 열도 연결했다. 즉, N번 행의 아래에는 1번 행이, 1번 행의 위에는 N번 행이 있고, 1번 열의 왼쪽에는 N번 열이, N번 열의 오른쪽에는 1번 열이 있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N, 1), (N, 2), (N-1, 1), (N-1, 2)에 비구름이 생긴다. 구름은 칸 전체를 차지한다. 이제 구름에 이동을 M번 명령하려고 한다. i번째 이동 명령은 방향 di과 거리 si로 이루어져 있다. 방향은 총 8개의 방향이 있으며, 8개의 정수로 표현한다. 1부터 순서대로 ←, ↖, ↑, ↗, →, ↘, ↓, ↙ 이다. 이동을 명령하면 다음이 순서대로 진행된다.
- 모든 구름이 di 방향으로 si칸 이동한다.
- 각 구름에서 비가 내려 구름이 있는 칸의 바구니에 저장된 물의 양이 1 증가한다.
- 구름이 모두 사라진다.
- 2에서 물이 증가한 칸 (r, c)에 물복사버그 마법을 시전한다. 물복사버그 마법을 사용하면, 대각선 방향으로 거리가 1인 칸에 물이 있는 바구니의 수만큼 (r, c)에 있는 바구니의 물이 양이 증가한다.
- 이때는 이동과 다르게 경계를 넘어가는 칸은 대각선 방향으로 거리가 1인 칸이 아니다.
- 예를 들어, (N, 2)에서 인접한 대각선 칸은 (N-1, 1), (N-1, 3)이고, (N, N)에서 인접한 대각선 칸은 (N-1, N-1)뿐이다.
- 바구니에 저장된 물의 양이 2 이상인 모든 칸에 구름이 생기고, 물의 양이 2 줄어든다. 이때 구름이 생기는 칸은 3에서 구름이 사라진 칸이 아니어야 한다.
M번의 이동이 모두 끝난 후 바구니에 들어있는 물의 양의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r번째 행의 c번째 정수는 A[r][c]를 의미한다.
다음 M개의 줄에는 이동의 정보 di, si가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M번의 이동이 모두 끝난 후 바구니에 들어있는 물의 양의 합을 출력한다.
풀이
enum Direction: Int {
case left = 1
case topLeft
case top
case topRight
case right
case bottomRight
case bottom
case bottomLeft
}
// MARK: -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구현)
let nm = readLine()!.split(separator: " ").compactMap { Int($0) }
let n = nm[0]
let m = nm[1]
var baskets = Array(repeating: Array(repeating: 0, count: n), count: n)
var clouds = [[n-2, 0], [n-1, 0], [n-2, 1], [n-1, 1]]
for r in 0..<n { // 최초의 바구니 상태
baskets[r] = readLine()!.split(separator: " ").compactMap { Int($0) }
}
let dx = [-1, 1, -1, 1]
let dy = [-1, -1, 1, 1]
for _ in 0..<m { // 비바라기 & 물복사 버그
let command = readLine()!.split(separator: " ").compactMap { Int($0) }
guard let dir = Direction(rawValue: command[0]) else { continue }
let move = command[1]
for i in clouds.indices { // 구름 이동
switch dir {
case .left:
clouds[i][1] = moveToLeftOrTop(clouds[i][1], move)
case .topLeft:
clouds[i][1] = moveToLeftOrTop(clouds[i][1], move)
clouds[i][0] = moveToLeftOrTop(clouds[i][0], move)
case .top:
clouds[i][0] = moveToLeftOrTop(clouds[i][0], move)
case .topRight:
clouds[i][1] = moveToRightOrBottom(clouds[i][1], move)
clouds[i][0] = moveToLeftOrTop(clouds[i][0], move)
case .right:
clouds[i][1] = moveToRightOrBottom(clouds[i][1], move)
case .bottomRight:
clouds[i][1] = moveToRightOrBottom(clouds[i][1], move)
clouds[i][0] = moveToRightOrBottom(clouds[i][0], move)
case .bottom:
clouds[i][0] = moveToRightOrBottom(clouds[i][0], move)
case .bottomLeft:
clouds[i][1] = moveToLeftOrTop(clouds[i][1], move)
clouds[i][0] = moveToRightOrBottom(clouds[i][0], move)
}
let row = clouds[i][0]
let col = clouds[i][1]
baskets[row][col] += 1 // 이동 종료 시 물 담기
}
for cloud in clouds {
var copyMagic = 0 // 물복사 마법
let row = cloud[0]
let col = cloud[1]
for i in 0..<4 { // 대각선 체크
let nx = col + dx[i]
let ny = row + dy[i]
if isValidGround(ny, nx) {
if baskets[ny][nx] != 0 { // 물이 있는 바구니이면
copyMagic += 1 // 바구니 갯수만큼 물복사 +1
}
}
}
baskets[row][col] += copyMagic
}
var temp = [[Int]]() // 새롭게 비구름이 생길 위치 임시 저장.
for row in baskets.indices {
for col in baskets.indices where baskets[row][col] >= 2 && !clouds.contains([row, col]) {
temp.append([row, col])
baskets[row][col] -= 2
}
}
clouds = temp
}
var sum = 0
baskets.forEach {
sum += $0.reduce(0, +)
}
print(sum)
// MARK: - Methods
func isValidGround(_ row: Int, _ col: Int) -> Bool { // 격자 밖인지 확인하는 함수
if row < 0 || col < 0 || row >= n || col >= n {
return false
}
return true
}
func moveToLeftOrTop(_ current: Int, _ move: Int) -> Int {
return (current-move < 0) ? (n - abs(current-move) % n) % n: current-move
}
func moveToRightOrBottom(_ current: Int, _ move: Int) -> Int {
return (current+move) % n
}
문제 요구사항대로 풀면 어려움없이 풀 수 있는 문제.
다만, 비바라기는 한 번만 이뤄진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그 후에는 물복사 버그와 구름이동으로 진행된다.
또한 구름 배열을 별개로 만들어서 2차원 배열 전체를 이동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도 있다. 나쁘지 않은 방법이지만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보다는 생성된 구름의 위치만 저장하는 2차원 배열을 만들고, 해당 배열을 이용해 구름을 이동시키면 간단히 해결된다.
추가로, 나는 move함수를 따로 만들어서 구현했지만, dx dy만을 이용해 해결할 수도 있다.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Swift - 가장 긴 팰린드롬 (LV.3) (1) | 2024.06.18 |
---|---|
[백준] Swift - 24467번: 혼자하는 윷놀이 (1) | 2024.06.13 |
[프로그래머스] Swift - 단속카메라 (LV.3) (0) | 2024.06.08 |
[프로그래머스] Swift - 날짜 비교하기 (LV.0) (0) | 2024.06.06 |
[프로그래머스] Swift - 구명보트 (LV.2) (0) | 2024.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