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설명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
dartResult | answer |
"1S2D*3T" | 37 |
"1D2S#10S" | 9 |
"1D2S0T" | 3 |
"1S*2T*3S" | 23 |
"1D#2S*3S" | 5 |
"1T2D3D#" | -4 |
"1D2S3T*" | 59 |
풀이 [ 메모리: 16,998kb, 최대시간: 0.14ms ]
func solution(_ dartResult:String) -> Int {
var stack = ""
var scores = [Int]()
for dart in dartResult {
let dart = String(dart)
if dart == "S" || dart == "D" || dart == "T" {
scores.append(calculate(&stack, bonus: dart))
continue
}
if dart == "#" {
scores[scores.endIndex-1] = achaAward(scores)
continue
}
if dart == "*" {
scores = starAward(&scores)
continue
}
stack += dart
}
return scores.reduce(0, +)
}
func calculate(_ stack: inout String, bonus: String) -> Int {
guard var score = Int(stack) else { return -1 }
switch bonus {
case "D": score = score * score
case "T": score = score * score * score
default: break
}
stack = ""
return score
}
func starAward(_ scores: inout [Int]) -> [Int] {
if scores.count > 1 {
for i in scores.endIndex-2..<scores.endIndex {
scores[i] *= 2
}
} else {
scores[0] *= 2
}
return scores
}
func achaAward(_ scores: [Int]) -> Int {
guard var currentScore = scores.last else { return 1 }
currentScore = currentScore * (-1)
return currentScore
}
해당 문제를 풀 때 고려했던 사항은 아래와 같다.
- 10과 1, 0을 구분하는 것
- 스타상(*)일 때, 점수가 하나일 때와 여러 개일 때를 구분
그리고 의사코드를 작성했는데,
- 10과 1, 0을 구분하기 위해 S, D, T가 나올때 까지 Stack에 담기
- S, D, T가 나오면 해당 글자 삭제
- S, D ,T에 따른 점수별 계산
- 아차상일 때 (해당 점수) * (-1)
- 스타상일 때 조건 구분
이와 같은 사고 흐름으로 스택 방식으로 계산하고, 함수를 쪼개어 가독성을 높여봤다.
문제를 풀 때 함수를 분리하니 외부 변수의 값을 함수 내에서 수정해야했기에 inout키워드를 사용해야 했다.
풀이에는 40분?가량 소요되었지만 문제가 길고 복잡해보였던 것에 비해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재밌었던 문제.
반응형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스트캠프 - Q1] Swift - 함수구현 (0) | 2023.06.03 |
---|---|
[프로그래머스] Swift - 햄버거 만들기(LV.1) (0) | 2023.06.02 |
[프로그래머스] Swift - 두수의 합(LV.0) (0) | 2023.05.31 |
[프로그래머스] Swift - 3진법 뒤집기(LV.1) (0) | 2023.05.30 |
[프로그래머스] Swift - 이진 변환 반복하기(LV.2) (0) | 2023.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