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Swift - [1차] 다트게임 (LV.1)

by @Eddy 2023. 6. 1.
728x90

👆문제풀러 가기👆

문제 설명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

dartResult answer
"1S2D*3T" 37
"1D2S#10S" 9
"1D2S0T" 3
"1S*2T*3S" 23
"1D#2S*3S" 5
"1T2D3D#" -4
"1D2S3T*" 59

 


풀이 [ 메모리: 16,998kb, 최대시간: 0.14ms ] 

func solution(_ dartResult:String) -> Int {
    var stack = ""
    var scores = [Int]()

    for dart in dartResult {
        let dart = String(dart)

        if dart == "S" || dart == "D" || dart == "T" {
            scores.append(calculate(&stack, bonus: dart))
            continue
        }

        if dart == "#" {
            scores[scores.endIndex-1] = achaAward(scores)
            continue
        }

        if dart == "*" {
            scores = starAward(&scores)
            continue
        }

        stack += dart
    }
    return scores.reduce(0, +)
}

func calculate(_ stack: inout String, bonus: String) -> Int {
    guard var score = Int(stack) else { return -1 }

    switch bonus {
    case "D": score = score * score
    case "T": score = score * score * score
    default: break
    }
    stack = ""

    return score
}


func starAward(_ scores: inout [Int]) -> [Int] {
    if scores.count > 1 {
        for i in scores.endIndex-2..<scores.endIndex {
            scores[i] *= 2
        }
    } else {
        scores[0] *= 2
    }

    return scores
}

func achaAward(_ scores: [Int]) -> Int {
    guard var currentScore = scores.last else { return 1 }
    currentScore = currentScore * (-1)
    return currentScore
}

해당 문제를 풀 때 고려했던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10과 1, 0을 구분하는 것
  2. 스타상(*)일 때, 점수가 하나일 때와 여러 개일 때를 구분

그리고 의사코드를 작성했는데,

  1. 10과 1, 0을 구분하기 위해 S, D, T가 나올때 까지 Stack에 담기
  2. S, D, T가 나오면 해당 글자 삭제
  3. S, D ,T에 따른 점수별 계산
  4. 아차상일 때 (해당 점수) * (-1)
  5. 스타상일 때 조건 구분

이와 같은 사고 흐름으로 스택 방식으로 계산하고, 함수를 쪼개어 가독성을 높여봤다.

문제를 풀 때 함수를 분리하니 외부 변수의 값을 함수 내에서 수정해야했기에 inout키워드를 사용해야 했다.

풀이에는 40분?가량 소요되었지만 문제가 길고 복잡해보였던 것에 비해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재밌었던 문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