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1

[Swift] 변수(var), 상수(let), 타입 어노테이션(type annotation), 타입추론 변수와 상수는 개발자가 값을 기억하기 위해 정의하는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마치 이름모르는 사람을 설명할 때는 어떻게 생겼고, 어디서 일하고 등은 머릿속에 있는 정보를 말로 설명하려면 복잡하지만, 김땡땡씨 라고 기억하고 있다면 언제든 '김땡땡씨' 라고 언급하기만 해도 누구나 알 수 있다는 것과 유사하게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변수(var) = 변할 수 있는 수: 필요에 따라 저장된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변경 시 같은 타입이어야 함. ( ex) 정수 -> 정수 ) -상수(let) = 변할 수 없는 수: 한 번 저장된 값은 변경할 수 없다. 상수로 정의하는 이유는 값이 실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값의 성격이 명확히 분류되어 관리가 효율적이기 때문인데 변수나 상수 둘 중 어느 것.. 2022. 4. 2.
Thread 1: "[<SignUpProject.~~~ 0x15f011620> setValue:forUndefinedKey:]: this class is not key value coding-compliant for the key ~~~." [ setValue:forUndefinedKey:]: this class is not key value coding-compliant for the key ~~~라는 오류는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오류이다. 해석하면, 이 class는 키에 대해 호환할 수 없는 키값입니다. 라는 의미이다. 즉, 당신이 무엇인가 연결했지만 연결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것. [해결방안] 1. Main.Storyboard로 가서, 현재 오류가 발생한 ViewController를 우클릭. 2. 오류표시가 있는 커넥션을 삭제해주면 해결. **원인** : 코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변수를 지웠으나, 스토리보드에는 참조가 남아있어 (경고 또는 주의) !표시가 발생한다. 2022. 3. 30.
[Swift] @IBOutlet, @IBAction이란? IB: Interface Builder(인터페이스 빌더) outlet은 변수 또는 상수 연결이라고들 흔히 말한다. 그게 무슨 말인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쉽게 말하면, 코드 따로, 스토리보드 따로 라고 생각하면 쉬웠던 것 같다. (어쩌면 내가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했기에 어떤 글이나 인강을 봐도 이해하지 못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IBOutlet은? 1. 코드를 작성한 것이 스토리보드의 무엇인가? 2. 스토리보드의 View객체(ImageView, Text Field) 등이 어떤 코드에서 정의 되어있는가? 이 두 질문을 이어주는 것이 IBOutlet으로 보인다. 그래서 -> 코드와 스토리보드의 연결. -> 정의된 변수 또는 상수와 스토리보드의 View객체의 연결. -> 코드(변수 또는 상수 등)와 스토리보.. 2022. 3. 30.
코드오류 리뷰에 앞서, 이제 코딩 시작한지 2주도 안 된 개발꿈나무가 이런 글을 적는가하면, 처음 시작할 때는 정말 별의 별 문제가 다 발생한다. 하지만 오히려 너무 쉬운 문제들이기에 짚고 넘어가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 올챙이 시절의 문제를 기록해두고, 누군가 이 글을 보고 해결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록을 남기기 시작했다. 여전히 코딩은 어렵고, 영어뿐이라 접근성도 높기에 그리고 핸드폰을 처음 사면 무슨 기능이 있는지 찾는 것마저 힘듦을 알기에. 내가 임의로 해결한 것들이 정답은 아니지만, 누군가에겐 해답이 될 수도 있겠다. 2022. 3. 27.